본문 바로가기
Assets/FLR & SGB News

송버드(SGB) 트렌젝션 확인하는 방법/신규 이더리움 주소 테스트

by ssameocean 2021. 10.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송버드(SGB) 트렌젝션 확인하는 사이트랑
개인적으로 궁금해진 사항에 대해서 테스트를 해보고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크게 중요한 소식이나 내용은 아닐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트렌젝션 확인하는 사이트는 알아두시면
언젠가는 편리하게 쓰일일이 잊지 않을까 싶네요.
사실 저도 어제 트렌젝션 확인해보면 금방 끝날 일을 그렇지 못해서 좀 시간이 걸린 일을 겪고 난 뒤
글을 작성해두면 좋을 것 같아서요.


트렌젝션(TX) 확인

많이들 알고 계시겠지만, 혹시나 저보다 더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좀 적겠습니다.
블록체인 상에서(또는 블록체인이 아닌대서도 사용하는 용어지만)
각종 거래(생성하는 것, 주고받는 것, 위임하는 것, 각종 컨트렉트 등) 행위함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을
트렌젝션을 처리한다고 표현합니다.
그 처리되는 사항은 트렌젝션 상세를 보면 파악해볼 수 있죠.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그 트렌젝션들이 공개가 되고, 볼 수가 있습니다.

(거래소에서 다른 지갑으로 보낼 때
대부분 트렌젝션 처리 주소를 보여줍니다.
그것을 확인하면 내가 보낸 코인의 행방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이더스캔,
XRP는 BITHOMP, XRP SCAN 등으로 트렌젝션이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각 계정당 어떤 트렌젝션이 발생했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송버드 네트워크(SBG)에도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https://songbird-explorer.flare.network/

Flare Songbird Explorer

No Yes

songbird-explorer.flare.network

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정 주소를 넣어서 검색하면 그 계정에 공개된 정보들이 나오고,
TX ID를 넣어서 검색하면 그 트렌젝션이 어떻게 처리되었나 나옵니다.

사이트 하단에 다음과 같이 소개를 하고 있습니다.


"플레어 송버드 익스플로러는 트렌젝션과 주소 그리고 플레어 송버드 블록체인에서 다른 활동들을 검사,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사실 이 툴은 바이프로스트(Bifrost) 지갑을 쓰고 있다면 바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갑은 모르겠지만,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처리하는 중이거나 처리된 항목을 누르면 해당 트렌젝션에 대해서
바로 연결하여 보여줍니다.

제 바이프로스트 지갑 WSGB 받은 항목을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아래 회색의 View on block explorer를 누르면 해당 내용이 나옵니다.
보통 처리가 잘 되었으면 확인할 일이 별로 없겠고,
처리가 잘 안되었을 경우는 눌러서 확인해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겁니다.

아래부터는 궁금하신 분들만 보시고
안 궁금하신 분들은 맨 아래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 궁금증,

신규 생성된 이더리움 주소는 송버드 주소를 자동으로 생성할까?


저도 송버드 네트워크에 대해서
그리고 해당 분야에 대해서 완전히 아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이 뭐~" 이러면 아..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갑니다.

하지만, 한 가지는 알고 있죠.
작년 XRP를 들고 있는 사람들이
플레어를 에어드롭받기 위해
이더리움 주소로 클레임 했다면
플레어 네트워크 상 이더리움과 같은 주소로 플레어를 에어드롭할 것이고,
송버드(SGB)는 배포했다는 것.
이더리움 주소와 똑같은 형식의 주소로 계정이 생성된 것이죠.

그런데 말입니다.
그냥 궁금해졌습니다.
클레임 하지 않은 이더리움 주소와 플레어 네트워크와는 어떠한 관계일까? 하는...
그래서 테스트해보기로 했습니다.
(글을 작성하면서 테스트해볼 예정입니다. 저도 아직 결과를 몰라서 궁금하네요.)

1. 새로운 이더리움 계정을 만든다.
메타마스크에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용으로 만들어 본 것입니다.

후다닥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더스캔으로 본 계정
https://etherscan.io/address/0x602532dd7692ad5e27c1b35ea3a7af8234bdf0db

2. 송버드 플레어 익스플로러에서 같은 주소를 검색해본다.
https://songbird-explorer.flare.network/address/0x602532Dd7692ad5e27C1b35Ea3a7Af8234bdF0dB/transactions
계정 정보가 뜹니다.
문제가 있습니다.
그냥 뜨는 것인지 계정 정보에 접근이 가능해서 뜨는 것인지 구분이 안 갑니다.

이렇게 테스트는 실패했습니다.
끝.
마치면 안 되겠죠?

다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더리움 계정을 새로 만든다.
(그냥 이참에 플레어 파이낸스 테스트용 지갑 하나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2. 송버드 플레어 익스플로러에서 주소를 검색해본다. 아까와 마찬가지죠.

3. SGB를 보내본다.

0.01 SGB를 보냈고, 수수료로 0.00473 SGB를 사용했네요.
트렌젝션 결과는? Success! 성공했답니다.


4. 송버드 플레어 익스플로러에서 주소를 검색해본다.
아까 위에서 주소도 검색되고, TX도 성공했는데 되지 않을까 싶은데...
두구두구 궁금하네요. 확인해보겠습니다.


들어왔습니다.

5. 메타마스크에서 송버드 네트워크를 추가해서 계정에 접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부러 송버드 네트워크 추가되지 않은 다른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했습니다.)
성공! 뭐 이건 당연히 접근 가능하겠죠.


추가 테스트
바이프로스트 월렛에서 새 지갑을 만들어보고
생성된 송버드 주소와 이더리움 주소가 같은지 확인하였을 때 주소가 같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Bifrost wallet에서 만들 때 사용한 시드 구문을
메타마스크 불러오기로 불러왔을 때 동일한 이더리움 주소로 복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결론 :
"한 번" 테스트해본 결과
플레어 네트워크 클레임 이후 신규 생성한 이더리움 계정이라고 하더라도
송버드 네트워크에 이더리움 주소와 같은 주소가 있으며, 이더리움 프라이빗 키로 접근이 가능했다.

+추가 궁금증 :
클레임 이전에 클레임 하지 않은 이더리움 주소는?
익스플로러에서 주소를 검색해보면 검색이 되기는 한다.
아마도 접근 가능하지 않을까?

+나름의 추론(저 혼자 내린 결론으로 사실이 아닐 수도 있으니, 유의하세요)
이더리움 주소만 있다면 송버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더리움과 송버드 주소는 뭔가 하나처럼 움직이고 있는 것 같다.

혹시
이더리움 주소로 송버드를 실수로 보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너무 좌절하지 말고 송버드 지원하는 지갑에서 한번 복구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부끄럽게도 어쩌면 저의 무지로 인해 궁금증이 생겼고
안 해도 되는 테스트를 해본 것 같네요.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번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다른 상황에서는 어떻게 적용될지 전문 지식이 없어서 뭐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듯합니다.
이점 유의해주세요~
누군가가 아시는 분이 원리나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셔도 좋을 것 같네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