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netic.market과 Sparkdex 유동성 공급 풀고 FLR 현금화

현재 일부 USDT, USDC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과 일부 코인을 https://app.kinetic.market 에 공급(supply)한 뒤 SFLR을 빌려서(borrow) https://sparkdex.ai/farm 에서 내가가진 wflr과 묶어서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는 중이다.
이렇게 하면
1. 맡긴 코인에 대해 이자를 받을 수 있다.
2. 빌린코인에 대해서 이자를 내고 갚아야하지만, 현재는 빌릴때도 보상을 준다. 그래서 총하면 약 년 0.1%정도의 이자만 나간다.
3. 이자가 나갔는데 구지 왜 빌렸냐고?
그걸 다른 곳에 예치하면 이자를 받기 때문

주의할 점
1. 결국 내가 들고있지 않다. 저기 업체 문제 생기면 잃는 것.
2. 스테이블코인 자체 패깅 문제(루나 UST처럼…)
3. Flare 로 옮겨온 스테이블 코인 패깅 문제(USDT 자체는 문제 없더라도 브리징해서 가저온 자산이므로)
4. 빌린 자산보타 담보로 잡은 자산 가치가 낮을경우 청산 문제.
(USDT를 맡기고 SFLR을 빌렸어. SFLR(FLR)이 가격이 마구 오르면 담보보다 빌린자산의 가치가 오르겠지? 예를 들어 담보의 50%를 빌렸는데 SFLR의 가격이 2배가 되는 순간 담보보다 빌린 자산이 높아지니까 문제가 돼. 그 전에 갚거나 담보를 늘려줘야해. 문제는 문제가 마구 터지기 시작하는 순간 서비스가 멈춰버려서 눈뜨고 당한 사례들이 많다는 것…)
나는 겁쟁이라 담보의 10%정도로만 빌렸다.

아무튼,
그래서 코인을 맡기고, 빌리고, 또 맡겼어.
정리하면
1. 키네틱마켓에 코인 공급
2. 키네팃마켓에서 코인 대출
3. 스파크덱스에 대출받은 코인 예치

이제 이것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려고 해.
역순으로 처리하면 돼.
1. 스파크덱스에서 코인 인출
1.5 상환할 코인 이자 구하기
2. 키네틱마켓에서 대출 코인 상환(repay)
3. 키네틱마켓에서 담보잡은 코인 인출
(키네틱마켓에서 대출을 안받은 경우에는 1.5번과 2번이 생략된다.
때로 Sparkdex에 USTC/USDC 쌍으로 유동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코인인출방법은 같으니 아래를 참고)

A. 스파크덱스 코인 인출

1. Bifrost wallet이나 Metamask 인앱브라우저로
https://sparkdex.ai/farm 접속
2. Connect 눌러서 인증
3. Your Deposits 선택해서 목록확인
4. 목록에 있는 화살표 눌러서 Withdraw의 선택
5. 전체 인출인 100% 누르고 Remove 선택
6. 승인하면 쌍으로 묶여있던 코인들의 지갑으로 들어옴
(현재 경우는 FLR과 SFLR)
7. Your Deposits에 있는 자산마다 반복

B. 상환할 코인 이자 구하기

빌릴 때 발생하는 이자와 같이 갚아야한다.
갚아야하는 수량은
https://app.kinetic.market/dashboard
키네틱마켓 dashboard탭에 있는
borrowed에서 확인 가능하다.
위 항목에서 인출한 차이만 구하면 된다.
어디서? sparkdex swap에서…
위에서 사용했던 Sparkdex에서 SWAP을 선택한다.

FLR수량을 넣어(혹은 WFLR)
필요한만큼 아래 sFLR 맞춘 후 SWAP을 눌러준다.
그럼 필요한 이자가 구해졌다.

하!지!만!
사실 쌍으로 묶어서 유동성을 공급하면
쌍으로 묶은 두코인의 수량이 계속 바뀌므로
SFLR 수량이 추가로 필요할지 남을지는 모른다.
남으면 FLR로 바꾸면 된다.
(거래소에 팔려면 FLR만 팔 수 있으니…)
Sell을 SFLR로 바꾸고 Buy를 FLR로 바꾸면 된다.

C. 키네틱 마켓 대출 상환

https://app.kinetic.market/dashboard
키네틱마켓 dashboard탭
borrowed 밑에 있는 Repay를 누른다.
전부 대출할 것이므로 Max를 누르고 승인한다.
(여러번 승인해야할지도…)
Borrowed항목이 사라진 것을 확인한다.
여러항목이 있으면 항목마다 반복한다.

D. 키네틱마켓에서 담보잡은 코인 인출

마찬가지로 공급함 목록도 dashboard에 있다.
Supplied 항목에 있는 Withdraw를 선택하고
Max누르고 승인한다.
여러항목이 있으면 항목마다 반복한다.

찾을 것은 다 찾았나? 아니다.

보상이 남아있다.

보상은 갸략 4가지가 있을 수 있다.
1. Supply에 대한 보상
기본적 Supply애 대한 이율은
방금 D항목에서 인출하면서 얻었다.
하지만 그 외 보상이 있다.
현재는 rFLR보상이 있다.
2. rFLR
3. Joule
4. Kii
5. SparkDex FLR관련 보상
3번과 4번은 안줄 수도 있다.

Rewards 탭으로 가보자.


위에 Kii와 Joule 두개는 Claim해주고
rFLR은 클레임 사이트가 따로있다.
Go Claim누르면 사이트로 연결되긴한다.

먼저 Joule와 Kii를 해결해보자.

Joule는 바로 바꿀 수 있지만
Kii는 스테이킹 되어있는 형태이다.
언스테이크 해야한다는 뜻이다.

Stake탭으로 들어가보자.
상단에 Unstaking을 선택하고
아래로 죽 내리면 수량 넣는 곳이 나온다.

Max 누르고
오른쪽 35% token burn을 선택한다.
왼쪽 unstake누르면 30일 뒤 찾을 수 있다.
아마도 나의 경우는 굉장리 푼돈일 확률이 높으므로
30일 기다리지말고 65% 즉시 받는 것으로 선택하자.
그러면 Joule를 받게된다.

이 Joule는 어디서 바꾸냐?
Sparkdex에서 FLR로 바꾸면 된다.

SparkDex 보상


내지갑에서 WFLR로 위임을 하면
위임보상과 매달나오는 FlareDrop으로 FLR을 받는다.
Sparkdex에 근데 WFLR을 넣었잖아?
그럼 위임보상이랑 Flaredrop은 못받겠네?
아니다. Dex에서 받아서 나눠준다.
그걸 클레임하는 거다.
그러므로 얘도 한달에 한번꼴로 클레임이 가능하다.
그달 유동성을 묶었으면 좀 지나야 받는거다.


Farm으로 들어가면 위에 받을 수 있는 수량이 적혀있다.
Claim을 눌러 보상을 받으면 된다.
실시간 수량이 아니므로 다음달에도 확인을 해야한다.

이제 rFLR설명이 남았다.

예전글에도 잠깐 있지만 설명해보자면
내가 Flare Network에 참여한 대가로 Flare 사에서 주는 보상이다.
다만 주기가 있다.
한달에 한번쯤 Claim할 수 있고
클레임 한 상태에서는 일부만 즉시 인출가능하고
나머지는 1년인가에 나눠서 받게된다.
즉시 다 받고 싶으면 50%는 Burn(버려버리고) 하고 받을 수는 있다.

https://portal.flare.network/


해당사이트를 Bifrost/Metamast로 들어가서
Connect해준 뒤 Emission에 들어가준다.
Select project를 눌러보면
여러 프로젝트가 있다.
하나씩 눌러보고 클레임할 것이 있으면 클레임 해준다.
(아마 Kinetic이랑 Sparkdex만 있겠지)
아까 말했지만 한달 정도 기간으로 클레임할 수 있으니
지금 당장 안뜨면 한달 뒤에 해보자.
 
밑에 항목
-WFLR Balance : 내 WFLR 수량
-Avalable Funds : 현재 내가 가진 보상 수량 중 lock이 풀려서 인출 할 수 수량. Withdraw하면 내 지갑으로 WFLR로 들어온다.
-Loced Funds : 내가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안되서 잠겨있는 물량. Withdraw all을 누르면 50% 태우고 내 지갑으로 들어온다.
 
여기까지가 Defi에 묶여있는 관계를 푼 상태이다.
그럼 지갑에 무엇을 들고있는가?
WFLR, FLR, USDT 등을 들고 있겠지?
 
Flare Network를 떠나서 현금화할 거면
WFLR은 FLR로 Unwrap해서 FLR 상태로 거래소 보내면 되고
(이전 글 참고)
 
숙제가 또 남아있다.

USDT, USDC는 어찌할 것인가?

(현재 글 작성 시점 기준)
거래소에 USDT와 USDC가 있다고 보내면 큰일난다.
거래소에서 Flare Netwrok의 USDT, USDC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므로...
(FLR도 상장안된 거래소가 수두룩 한 상황이니 그럴만하다...)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Stargate를 이용한다. 
2. SparkDEX에서 FLR로 스왑하여, 거래소로 보낸다.
나라면 양이 많을 경우 1번을 이용하겠다.
하지만 복잡하므로 2번 방법을 써야할 것이다.
다만 많은 양일 경우 유동성양에 따라 손해를 보므로
며칠에 나눠서 하는 방법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