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ssets/Basics

어느 정도의 지식-암호화폐,코인,블록체인-1(주의점,주소체계,체인종류)

by ssameocean 2021. 9.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완전 개인 일기장처럼 사용하는 블로그에 인사로 시작하다니

참으로 어색합니다.

 

추석이라 밤에 늦게 잘 수 도 있고 시간이 있어서

그동안 써보고 싶었던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글을 쓰려던 목적도 사실 개인적인 이유에서 시작이었는데,

이왕 작성하는 것 블로그에 형식을 갖추고 써보면 어떨까 하여 약간의 격식을 차리고(?) 작성해보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의 원론적인 설명은 전문가에게 맡기고

암호화폐를 거래하고 주고 받는 기본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코인과 블록체인에 관한 글인데요.

글을 보시기 전에 앞서 참고하실 내용으로

1. 글을 작성하고 있는 저는 코인이나 블록체인에 대해 깊이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닙니다.

 전문적으로 배웠거나, 관련직종에 있는 사람이 아니고 그냥 조금 흥미를 갖고 있습니다.

2. 1번과 관련하여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치명적인 오류는 아닐 겁니다. 치명적인 내용을 작성할 계획이 아닙니다.)

3. 너무 깊거나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지 않으며, 전반적인 내용 전부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 필요한 만큼만, 필요한 내용만 서술하고 끝날 예정입니다.

4. 투자관련 내용은 없으며, 간혹 코인의 이름들이 나와도 투자를 권유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부족하지만 글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자세(안전)

코인을 다룰 때에는 순결하고 정결한 작업환경에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각종 불법 프로그램이나 해킹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장비로 하는 것은 본인의 자산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코인뿐만 아니라 다른 자산에서도 해당되는 이야기이지만

코인, 블록체인 특성상 한번 일이 진행되고 나면 되돌리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킹 등으로 인하여 자산을 일게 될 경우 되찾기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각종 거래가 일어나는 작은 행위들을 트렌젝션이라고 이야기들을 하게 되는데요.

 보통의 탈중화가 된 코인, 블록체인의 경우 거래에 관해 중앙에서 관리해주는 관리주체가 없기 때문에 

 그 트렌젝션들을 되돌리거나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공개된 블록체인(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거래기록이 다 남기 때문에 해킹 주소를 통한 거래가 불가능하도록

 거래소가 처리해주는 등의 일이 있기는 하나 쉬운 케이스가 아닙니다.

-애초에 해킹, 피싱 등에 당하지 않도록 컴퓨터나 핸드폰 관리에 힘써야 하겠습니다.

 

불법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집에 있는 컴퓨터나 핸드폰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적어도 백신 업데이트 후 검사 후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백신의 경우 추가 프로그램을 깔지 않았다면

윈도우10기준 윈도우 디펜더를 사용하여 검사하면 되겠습니다.

설정 > 업데이트 보안 > windows 보안 >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로 들어가서

업데이트 한번 하고, 검사를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조금 과하다고 생각을 할지 모르겠으나,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을 듯합니다.


주소체계

코인, 블록체인 특성별로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내용들로 작성하였습니다.

 

1. 주소-퍼블릭 키, Public Key

 -은행 계좌번호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른 사람이 내 은행계좌로 돈을 보낼 때 내 계좌번호를 통해서 돈을 보내잖아요? 

  마찬가지로 동일 블록체인 내에서 코인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계좌번호 같은 개념입니다.

  상대방이 나에게 코인을 보낼 때 내 계좌임을 식별하는 주소입니다.

 

2. 데스티네이션 태그(Destination Tag), 메모, 기타 등등

 -개인이 모두 한 계좌씩 가지고 있으면 계좌번호가 전부 각각 다르겠죠?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거래소 계좌입니다.

  전부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거래소의 경우 일부 코인들에 대해서 개인별로 계좌를 발급해주지 않습니다.

  (계좌별로 개설 비용이 들어가거나 다른 이유가 있겠죠?)

  그래서 거래소에서 한 계좌를 만들어서 여러 사람이 나누어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한 계좌 안에서 여러 사람이 쓰는데 얼마가 내 코인인지 어떻게 아느냐?

  그럴 때 필요한 것이 데스티네이션 태그, 메모 등입니다.  (각 체인별로 명칭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 개 주소 안에서 여러 명의 코인이 섞여있으니 데스티네이션 태그를 부여하여 구분이 가능하도록 해둔 것입니다.

  즉, 한 개의 주소를 여러 개로 쪼갠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XRP, LUNA 같은 경우 대부분 거래소 주소 발급 시 데스티네이션 태그, 메모가 같이 발급됩니다.

 -기타 다른 코인들도 꼭 해당 코인 주소에 추가 태그가 있는지 확인을 한 후 송금 등을 해야 합니다.

 -코인을 송금할 때 꼭 확인하고, 태그가 있다면 꼭 같이 작성해야 합니다.

 -개인 지갑  (하드웨어 지갑[Ledger nano X/S, Trezor, 디센트 등], Xumm, 테라스테이션 등)의 경우는 계좌를 나누어서 쓰지 않기 때문에 태그 등이 필요 없겠죠?

 거래소에서 태그가 없는 주소로 송금할 때에는 해당 칸을 비워서 보내면 됩니다.

 거래소에서 꼭 작성해야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커뮤니티 등을 통해 확인을 해보면 됩니다.

 (0을 쓰거나, 아무거나 쓰거나 등일 겁니다.)

 

 3. 비밀번호-프라이빗 키, Private Key

 -이름에서부터 느껴지는 개인적인 느낌, 절대 노출해서는 안될 것만 같은 프라이빗한 키입니다.

 -그냥 노출하지 마세요.

 -은행계좌 비밀번호에 해당합니다. 비밀번호를 노출해서는 안 되겠죠?

  (정확히는 은행계좌 그 자체가 맞을 수도 있겠습니다.)

 -굉장히 길고 복잡한 비밀번호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일부 어플들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프라이빗 키에 접근이 못하도록 되어있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지문이나 간편 비밀번호 등으로 대체를 하도록 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어플들에서 프라이빗 키를 내보내기 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기도 합니다.

 

4. 비밀번호, 계정 등 복구 키 - 니모닉

 -살짝 복잡한데 간단히만 생각하면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새로운 지갑에서 기존 지갑을 불러오고 싶을 경우

  16개, 24개, 32개 등 정해진 단어를 입력하면 계정이 복구되도록 하는 단어 나열입니다.

 -표준화된 암호체계로 사용하는 지갑이 다르더라도 다른 지갑에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지갑에 따라 독자 복구키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어플 등 옵션에서 복구, 리커버리(Recovery)등을 창에서 입력하여 계정을 복구합니다.

 -결국 프라이빗 키와 같이 노출해서는 안됩니다.

 -지갑이나 계정 등을 만들 때 처음에 단어를 몇 개 쭉 뿌려줍니다. 그 단어를 잘 작성한 뒤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하세요.

  해킹이 가능한 핸드폰 사진으로 찍거나, 컴퓨터에 텍스트 파일이나 사진으로 저장하거나 하면 안 됩니다.

  종이에 작성해서 불에 타지 않거나 물에 젖지 않거나, 찢어지지 않거나, 없어지지 않거나, 노출되지 않거나,

  누가 먹지 않거나, 재활용에 버리지 않거나, 이면지로 쓰지 않거나, 글씨가 번지지 않거나........(어디까지 할 거니?)

  하는 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게 좋겠습니다.

  ㅎㅎ 그냥 개인 지갑을 안 쓰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드나요? 양날의 검입니다.

  거래소는 먹튀 등의 거래소만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참고)단어들을 통해서 프라이빗 키등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보완 및 좀더 정보를 알고 해야하는 작업이므로

      일단 모르는 단계라면 손대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좀더 많이 찾아보고 잘 알 때쯤 더 알아보세요.

https://support.ledger.com/hc/en-us/articles/4404388633489-Export-your-accounts?docs=true 

 

Export your accounts

Accounts generated by a Ledger device can be recovered on any (third-party) hardware or software wallet that supports the same standards as Ledger (BIP32/BIP39/BIP44).   Security warning Note th...

support.ledger.com

하드웨어 월렛의 한 종류인 Ledger사 문서

Generate private keys(Advanced)를 누르면 BIP39 tool 링크가 걸려있습니다.

오프라인으로도 실행이 가능하며 자료 링크만 걸어둡니다.   

 

 5. 2FA, OTP, 2중 장금 등

 -용어들이 좀 생소할 수 있지만 인터넷 뱅킹 사용했을 때 다 사용했던 것들입니다.

 -은행에서 OTP(One Time Password), 보안카드 사용과 같은 맥락입니다. 

 -본인이 거래를 신청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작성하는 내용입니다.

 -주로 문자, 이메일로 6자리 숫자를 보내기도 하고, 구글 OTP로 설정해둔 경우

  어플 OTP를 실행해서 6자리 숫자를 입력하게 됩니다. 

 -은행 OTP와 마찬가지로 시간마다 변경되므로 비교적 빨리 작성해야 합니다.

 -구글 OTP의 경우 처음에 적용할 때 복구키를 같이 알려줍니다.

  이 복구키도 잘 보관하여 문제가 있을 경우(핸드폰이 갑자기 망가지거나 분실하는 등의)

  다른 폰에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개인 지갑보다 주로 거래소에 설정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블록체인 종류-주소

1. 기본적으로는 각 코인 별로 각각의 블록체인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해보자면

  코인 A는 블록체인 A에 있는 코인이고

  코인 B는 블록체인 B에 있는 코인입니다.

  이 코인 A와 B는 각기 다른 체인 위에 있는 것이고 둘은 서로 호환되지 않습니다.

  코인 A를 블록체인 B로 송금하면 안 되겠지요? 

 -예) BTC(비트코인-비트코인 블록체인), ETH(이더리움-이더리움 블럭체인), XRP(XRP-XRP Ledger) 등

2. 기본적으로는 각 블록체인에 코인 1개라고 생각하면 쉬운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이더리움 체인 위에는 ETH뿐만 아니라 ERC토큰이라고 다른 코인들이 있습니다.

 -XRP Ledger 위에는 XRP뿐만 아니라 CSC 등 다른 코인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한 개의 코인이 다른 형태로 다른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기도 합니다.

 -점점 더 복잡해지지요? 복잡한 것은 천천히 알아보도록 해요. 간단히만 이야기하자면

 -USDT라는 코인은 미국 1달러에 페깅 된 스테이블 코인 중 1개입니다.

  이 코인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도 있고, 트론 네트워크에도 있고, 바이낸스 네트워크(?)에도 있습니다.

  USDT라는 코인이지만 다른 네트워크에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의할 점!

-암호화폐를 송금할 때 네트워크와 주소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XRP를 이더리움 등 다른 네트워크 주소로 보낼 수 없습니다.

 그냥 없어지는 겁니다.

 특수한 케이스로 다른 네트워크로 보낼 수 있는데, 지금 단계에서는 그냥 안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소는 꼭 여러 번 확인하세요.

 (복사, 붙여 넣기 한 뒤에도 여러번 확인해보세요.

 복사 후 붙여넣기 할 때 주소를 바꿔치기하는 해킹도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암호화폐를 송금 할 때 네트워크 종류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3번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같은 USDT라고 하더라도 네트워크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네트워크가 다르면 주소 체계가 다르므로 신경만 쓴다면 알아차릴 수 있을 겁니다.

 기본적으로 거래소에서 주소를 표기할 때 여러 가지 네트워크가 있으면 표기를 해주니 꼭 확인을 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해서 1편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에 대해 여러 번 강조해서 이럴꺼 왜하냐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ㅎㅎ

다른 사람들이야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래도 안전하게 자산을 지키려면 좀 여러번 확인하고 신경 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전 준비사항 및 블록체인 및 코인 주소 등 간략하게 몇 가지를 설명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는 거래소와 지갑에 대해서 다룰 듯합니다. 아마 다음 글이 이 기본 시리즈의 마지막이 될 것 같습니다. ㅎㅎ

 

부족할 수 있는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